서울원촌중학교 학생들이 강당에서 사격 연습을 하고 있다. 원촌중학교 제공
현재 우리나라에는 국공립·사립학교를 포함해 1만1519개 초중고교가 있다. 초등학교 5897개, 중학교 3163개, 고등학교 2303개다.
운동장을 갖고 있는 학교는 1만1363개(98.6%)이며 1만368개가 운동장을 개방한다. 체육관(강당 포함)을 보유한 학교는 8252개다. 평일 개방률은 65%, 토요일은 71%, 공휴일은 72%다. 체육관 개방률은 높지만 개방 시간과 요일을 최소화하고 소수 동호회에게만 대관하는 등 소극적, 자의적 개방에 머물고 있다. 수영장을 보유한 학교는 149개에 불과하며 그 중 일반인에게 수영장 문을 연 학교는 97개뿐이다.
국토교통부 ‘도시·군계획시설의 결정·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’에 따라 초등학교는 4000∼6000가구당 1곳, 중·고등학교는 6000∼9000가구당 1곳이 자리해야 한다. 초등학교는 통학거리 1.5km 이내에 위치해야 한다. 학교는 이러한 법적 규정에 근거하여 전국 곳곳에 균질적으로 공급돼 있어 접근도가 높다.
김미옥 한국스포츠개발원 박사는 “우리나라 체육시설 보급률은 67.9%로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다”며 “학교 체육시설을 잘 조성하고 개방해 동일한 공간을 시간에 따라 나누어 공유한다면 불필요한 소비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막고 궁극적으로 사회 공동 이익에 기여해 공유경제를 실천할 수 있다”고 말했다.
'기사와 칼럼 > 김세훈 기자 기사와 칼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포츠는 국민의 권리이자 국가 의무다. 문체부, 생활체육진흥포럼 개최 (0) | 2017.08.03 |
---|---|
[2017 한국스포츠 희망을 찾아서⑫·끝] 오정훈 서울체육중 교감 “학교-지역시설 상호 개방돼야” (0) | 2017.08.03 |
[2017 한국스포츠 희망을 찾아서⑫·끝] 학교 체육시설 현황, 개방율은 높지만... (0) | 2017.08.03 |
[2017 한국스포츠 희망을 찾아서⑫·끝] 학교체육시설 개방지원사업 어디까지 왔나 (0) | 2017.08.03 |
[2017 한국스포츠 희망을 찾아서⑫·끝] 체육시설 개방으로 지역민과 하나 된 대전산업정보고 (0) | 2017.08.03 |
[2017년 한국 스포츠 희망을 찾아서 11탄] PAPS란? (0) | 2017.07.16 |